728x90
무중력 상태일 때 일어나는 여러가지 일들에 대하여 간락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무중력 상태 일 때 가장 신기한 점은 촛불의 모양이 동그래진다는 것입니다. 원래 중력이 있는 경우 초에 타고 있는 불꽃의 모양은 위로 길어집니다. 이는 온도 차로 인해 가벼워진 기체가 위로 상승하기 때문인데 무중력 상태에서는 이런 현상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초 위의 불꽃이 동그란 모양이 됩니다. 무중력 상태일 때 물 열시 여기저기 신기하게 날아다닙니다. 그냥 둥실둥실 날아다닐 때 물 모양은 표면 장력에 의해 동그란 모양이 됩니다. 더 재미있는 점은 유리컵에 있을 때 물은 컵 밖으로 둥실둥실 떠나가지 않는다라는 것입니다. 물은 유리와 원래 잘 붙기 때문에 무중력 공간에서 물은 유리에 계속 붙은 채로 컵의 벽을 타고 올라가기도 합니다.
국제 우주 정거장 같은 곳에서 무중력 상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국제 우주 정거장은 수백 km의 고도에서 뜬 채로 지구의 주위를 원운동으로 돕니다. 따라서 관성력은 지구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관성력은 가속도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는 지구로부터의 만유인력이 바로 이 관성력에 의해 정확히 상쇄되므로 무중력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728x90
'과학에 관한 통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럴링크와 또론 머스크 (0) | 2023.05.26 |
---|---|
아주 재미있는 역학문제 2 (2) | 2022.11.17 |
아주 재미있는 역학문제 (0) | 2022.11.17 |
EPR 패러독스에 대한 고찰 (0) | 2022.11.16 |
높은 층에서 철봉에 매달리면 중력의 영향으로 더 힘들까요? (0) | 202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