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87)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가는 도대체 왜 존재해야 하는가? 국가는 왜 존재해야 할까? 국가가 기본권을 지켜주기 때문일까? 자유를 지켜주기 때문일까? 그렇다면 병무청의 통지서나 세금은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국가의 강제성은 어디에서 오는걸까? NGO는 왜 생겼는가? 역사적인 배경은 간단하다 시장이 실패했다 아담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하이에크는 시장으로 충분하다는 이론을 후에 다시 펼치긴 했지만) 후에 시장을 새롭게 하려는 정부 마저도 실패했다 케인즈의 이론조차도 부족했던 것이다 시장이 실패.. 법의 기본적인 특징 1 인간은 사회적 동물 -아리스토텔레스 2 법의 강제성과 처벌성 : 법은 강제성과 처벌성을 가진다 다만 사회에 영향을 주는 외적인 행동에 한해서만 처벌을 가할 수 있다 내면의 마음까지도 처벌할 수는 없다 3 법의 외면성 :법은 간결하며 왜곡하지 않는다 다만 법의 적용중에서 유추해서.. 나무 난 슬퍼하는 나무를 보았어요 그 나무는 웃고 있었죠 환하게 너무나 눈이 부시도록 그러나 그 나무의 가지는 부러져 있었어요 누군가가 아마도 재미로 부러뜨렸나 봐요 어린 아이의 장난이었을까요? -흙이 부족했기 때문일까요? 10년 전 그 나무를 처음으로 보았죠 저는 그 나무에 한 눈.. 용서 다른 사람들 용서하는 게 정말 어렵다는 건 저도 잘 알고 있어요 ㅋㅋ 최근에 정말 눈에 아른 거렸던 한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을 용서하는 게 정말 어렵더라구요 용서했다고 생각했는데 어느새 그 사람을 죽이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저 자신을 발견.. ㅎㄷㄷ 하게 되네요 청년의 때에는 .. 러셀의 증명 이해하기 칸토어 이후 집합론은 수학에 스며들게 된다 그 적통을 이어받아 새로운 논리적인 토대를 구축하려고 했던 사람이 버트런드 러셀과 화이트헤드이다 특히 버트런드 러셀은 집합론을 연구하다가 한 가지 괴상한 역설을 발견하게 된다 그 역설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자.. 수학적 논리는 어디서 출발했을까? (누군가는 탈레스를 최초의 수학자이자 과학자이자 철학자로 꼽는다) 수학적 논리는 어디에서 출발했을까? 그 기원은 고대 그리스로 넘어간다 수학은 두 가지인 듯 보이는 한 가지 기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유클리드의 <기하학원론>이다 기하학 원본은 정의, 첫 번째 원리들, 공.. 시편 27편 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나의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여호와는 내 생명의 능력이시니 내가 누구를 무서워 하리요 악인들이 내 살을 먹으려고 내게로 왔으나 나의 대적들, 나의 원수들인 그들은 실족하여 넘어졌도다 군대가 나를 대적하여 진 칠지라도 내 마음이 두렵지 아.. 이전 1 ··· 187 188 189 190 191 192 193 ··· 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