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87)
signal #include <ctype.h> double atof(char s[]) { double val, power; int i, sign; for(i=0, isspace(s[i]); i++) ; sign = (s[i] == '-') ? -1 : 1; if (s[i] == '+' || s[i] == '-') i++; for (val = 0.0; isdigit(s[i]); i++) val = 10.0 * val + (s[i] - '0'); if (s[i] == '.') i++; for ( power = 1.0; isdigit(s[i]; i++)) { val = 10.0 * val + (s[i] - '0'); power *= 10.0; } return sign*val /..
<크리스마스의 비극> 평소 추리문제, 논리문제를 사랑한다 이 책도 추리문제인데 내가 읽어본 책들 중 손가락에 꼽을 수 있을 만큼 좋은 책이다 추리문제를 사랑하는 사람은 읽을 가치가 있는 좋은 책이다
<뤼팽의 대모험> 역시 뤼팽은 뤼팽만 다루어야 한다 (홈즈를 등장시키지 말고 ㅠㅜ) 뤼팽의 작품은 하나같이 흥미진진하며 매우 독창적이다 뤼팽이 너무 제멋대로이긴 해도 그는 뛰어난 리더에 언변가, 천재적인 논리학자 , 무술가인 것만은 분명하다 특히 지옥의 함정 같은 내용을 보면 뤼팽이 논리적인..
<뤼팽과 숌즈의 대결> not bad한 작품이지만 홈즈의 추리과정도 너무 형편없었고 그 특유의 총명함brilliancy 도 보이지 않는다 추리 난이도는 너무 낮다 그래도 모리스 르블랑 특유의 흥미진진함은 있는 책이다
<기암성> 아르센 뤼팽의 작품이고 보트를레는 정말 굉장히 뛰어난 추리력을 보여준다 아마 홈즈 팬들의 반발 때문에 상처받았던 작가가 탄생시킨 인물이 보트를레 같은데 홈즈와는 달리 매우 어리고 총명하게 그려진다 이 작품에는 홈즈를 숌즈로 바꾸고 등장시키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원작자와..
<주홍색 연구 A study in Scarlet> 셜록홈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아주 어렸을 때 이 책을 읽었는데 읽고 난 후에 너무나 사랑하게 되었다 그 후 추리소설은 정말 나의 일부가 되었다 셜록 홈즈의 추리 능력에 진심으로 감탄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었다 특히 이 책에서 셜록홈즈의 사고방식을 많이 엿볼 수 있는데 코난 도일..
기도 1 Prayer 1 (조지 허버트) 기도는 교회의 잔치, 천사의 시대, 인간을 처음으로 돌아가게 하는 하나님의 숨결, 쉽게 풀이된 심령, 순례에 나선 마음, 하늘과 땅을 재는 다림줄, 전능하신 분께 맞서는 병기, 죄인의 요새, 거꾸로 치는 천둥, 그리스도의 옆구리를 찌르는 창, 엿새간의 세상을 한 시간 안에 바꿔놓는 변..
재능?? 나는 재능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 호기심이 있는 사람이었을 뿐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Albert Einsti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