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88)
가장 좋아하는 구절 두 종류의 사람들밖에는 없다 자기를 죄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의인들과 자기를 의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죄인들
모순은 허용되는가? 비트겐슈타인과 튜링의 논쟁을 담은 강의록 <수학의 기초에 관한 강의>를 읽어보면 비트겐슈타인은 모순은 그저 쓸데없는 언어게임일 뿐 그게 무슨 상관이냐고 말한다 심지어 자신이 제자였을 때 극찬했던 러셀의 프린키피아를 만든 역설마저도 허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저 그것..
양분화적 인식보다는 철학적 경구를 통한 insight 는 어떨까?? 감정이 없다면 사람들은 비참해지지 않는다 폐허가 된 집은 비참하지 않다 비참할 수 있는 것은 인간밖에 없다 Ego vir videns (팡세 689) "나는 나의 비참을 아는 사람이라"(예레미야애가 3:1)
단순한 오타 #include <stdio.h> main(){ int value1; int value2; int quotient; int remainder; printf("첫 번째 정수: "); scanf("%d", &value1); printf("두 번째 정수: "); scanf("%d", &value2); quotient = value1 / value2; remainder = value1%value2; printf("\n몫은 %d입니다. \n", quotient); printf("나머지는 %d입니다. \n", remainder); return 0; } 이걸 프로그래밍..
합계를 구하는 프로그래밍 #include <stdio.h> main() { int sum = 0, num; do { printf("정수를 입력하시오:"); scanf("%d", &num); sum += num; } while (num != 0); printf("합계=%d", sum); return 0; }
컴퓨터의 계산 속도 (calculating speed) #include <stdio.h> main() { int i, sum = 0; for(i = 1; i <= 10; i++) { if(i % 4 ==0 || i % 8 == 0) sum += i; } printf("sum=%d \n", sum); return 0; } 결과값 : sum=12Process returned 0 (0x0) execution time : 0.032 s #include <stdio.h>main() { int i, sum = 0; for(i = 1; i <= 100; i++) { if(i % 4 ==0 || i % 8 == 0) sum += i; } printf("sum=%d \n", sum); return ..
세계의 진정한 인재들 먼저 우리나라 강남의 전형적인 학생입니다 이 학생은 자발적으로 공부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저 주어진 일정에 자신을 끼워맞춰 왔을 뿐입니다 하루 종일 감정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저 회색입니다 이 학생은 학교 학원 학교 학원의 반복입니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학생에게 감정을 최고..
이산수학에 관해 짧게 정리한 글 1. 수학적논리 수학적 논리는 어디에서 출발했을까? 그 기원은 고대 그리스로 넘어간다 수학은 두 가지인 듯 보이는 한 가지 기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이다 기하학 원본은 정의, 첫번째 원리들, 공리들을 통해서 엄밀한 증명을 거쳐 모든 정리들에 도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