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89)
어느새 Java가 나의 모국어가 되었다 package cookie;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RoomBooking { public static double[] calculateDiscount(int mileage) { double discountPercentage = 0; if (mileage >= 100) { discountPercentage = 0.10; mileage -= 100; } else if (mileage >= 50) { discountPercentage = 0.05; mileage -= 50; } else if (mileage >= 10) { discountPercentage = 0.01; mileage -= 10; } else { System.out.println("Not enou..
남자는 등으로 운다 눈물 흘리는 앞모습 차마 보일 수 없어 괜찮다고 괜찮다고 앞에서는 그렇게 당당한 척만 했다 나는 그녀를 조용한 철장에 가두어두고 슬픔에 그녀를 담굴 수 없어 최대한 많은 행복한 웃음으로 우리의 시간을 채우려 노력했다 걸어오는 뒷모습 보여줄 때도 허리는 곧게 펴고 발걸음은 낙낙하게 아무도 볼 수 없는 조용한 공간에서 그제서야 두 손 얼굴에 받쳐 울고 또 운다
얼마 전 파리와 런던을 여행하며 종합적으로 느낀 점 그에 대한 결론 감사하게도 전 주에 프랑스와 런던을 다녀왔다. 이미 영국에서 살기는 하지만, 런던은 거의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라고 봐도 무방하고 파리 역시 이전에 가본 적은 없다. 이번에 휴가 시즌 겸 여자친구도 유럽에 왔기에 함께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에 대해 결론부터 말해보자면, (사실 나한테 사진들도 꽤 많이 있기 때문에 그 중 일부를 셀렉하여 - 다 내보내기에는 양이 꽤 많다 몇 가지 여행에서 주요한 포인트들을 짚고 싶지만, 시간이 없어서라기보다는 그저 귀찮기에 이러한 글을 쓸지는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이 느낀 점 결론을 먼저 쓰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너를 통해서 사랑을 배웠어' 라고 말할 수 있을 거 같다. 상당히 진부한 말임에도, 이번 여행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으로써는 아주 훌륭하..
컴퓨터랑 자바로 대화할 수 있는 지경에 이르렀다 public class Polynomial { int degree; long[] coefficients; // Constructor public Polynomial(int deg) { this.degree = deg; this.coefficients = new long[deg + 1]; for (int i = 0; i < deg + 1; i++) { this.coefficients[i] = 0; } } public static Polynomial copy(Polynomial source) { Polynomial newPoly = new Polynomial(source.degree); for (int i = 0; i = 0; i--) { System.out.print(source.coefficients[i..
내가 밖에서 시로 봤는데 흠흐밍 흠흐밍 하면서 돌아다니더라 public class MergeSortString { static void merge(String[] arr, int left, int middle, int right) { // Find sizes of two subarrays to be merged int n1 = middle - left + 1; int n2 = right - middle; /* Create temp arrays */ String[] L = new String[n1]; String[] R = new String[n2]; /*Copy data to temp arrays*/ System.arraycopy(arr, left, L, 0, n1); System.arraycopy(arr, middle + 1, R, 0, n2); /* Merg..
사람들은 복잡한 기계를 다룰 때에는 설명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이상하게도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기계 중 하나인 본인의 뇌를 사용할 때는 어떠한 설명서도 필요 없다고 착각한다 사람들은 복잡한 기계를 다룰 때에는 설명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정말 이상하게도 현재까지 알려진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기계 중 하나인 본인의 뇌를 사용할 때는 어떠한 설명서도 필요 없다고 착각한다. 본인의 뇌를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도 모르는 멍청이들이 자신들의 뇌가 나쁜 거 같다고 자신들은 멍청해서 안 되는 거라고 말할 때마다 저 현재까지 알려진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기계를 저 인간에게 선사한 causa sui에게 미안한 마음과 그러한 자비가 참으로 놀랍게 느껴진다. 나는 그런 사람들에게 오히려 묻고 싶다, 본인의 뇌를 정말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찾아보기는 했는지, 그래서 그 사용법을 통해서 본인의 뇌를 최대한으로 활용해볼 노력을 조금이나마 했는지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좋으니 본인이 그렇게 해보고자..
panda's attack public class RaggedArray { public static boolean finding(Integer[][] array) { for (int i = 0; i < array.length; i++) { for (int j = 0; j < array[i].length; j++) { if (array[i][j] == null || array[i][j] == 0) { System.out.print("false "); } else { System.out.print("true "); } } System.out.println(); // Move to the next line after each row } return tru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woArray.java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woArrays { public static int findSmallest(int[][] myArray) { int result = myArray[0][0]; for (int i = 0; i myArray[i][j]) { result = myArray[i][j]; } } } return result; } public static int findBiggest(int[][] myArray) { int result = myArray[0][0]; for (int i = 0; i < myAr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