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일기

(109)
좋은 선생님의 역설적인 조언 좋은 선생님일수록 자신이 선생님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일까? 내가 여러분들께 여쭈어볼수록 그 분들은 인문학은 하나의 놀이이며 이 놀이를 아이들과 함께하는 것일 뿐이라 말했다 아이들의 관심사를 더 귀기울여주려하며 아이들에게 따뜻한 애정과 응원을 불어넣어준다..... 내가 ..
독서의 원리 독서뿐만 아니라 세상만사가 거의 그렇지만 독서에는 더더욱 '자석의 원리'가 작용된다 (흔히들 공부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관성'이라는 표현을 쓴다) 예를 들어 카지노에서 바카라라는 게임을 하는 경우 그 기본적인 원리는 베팅과 확률에 좌우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도박사가 바카라를 ..
최고의 교사 최고의 교사라는 말이 굉장히 애매하거나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히 인정하지만 그것을 차치하고서라도 분명히 '나쁜 교사' 는 있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역으로 '좋은 교사'도 있을 수 있으며 그렇다면 최고로 좋은 교사도 있을 수 있지 않을까?? ebs 다큐 중에서 최고의 교사라는 책을 ..
체스 이야기(츠테판 츠파이크) 이 이야기는 상당히 흥미로웠는데 내가 이 이야기에 깊게 빠져든 이유는 아마도 내가 컴퓨터공학생이고 알파고와 이세돌의 이야기를 여러번 읽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두 주인공 (박사 b와 체스 챔피언)과 이야기를 설명하는 내레이터가 나온다 이 이야기는 내레이터의 시점에서..
독서토론내용정리 책 : 크리톤 먼저 책 내용에 대해서 나누었는데 조금 아쉬웠던 점은 책이나 그 주변 역사에 관해서 많이 알려고 하셨으나 책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다들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것이었어요 (물론 소크라테스 변명에서 크리톤으로 넘어간다는 내용에서 사실 소크라테스의 변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