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89) 썸네일형 리스트형 절대와 상대의 조화 예술이라는 것은 절대와 상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절대적인 것만 강조하면 상대적인 것을 말살하고 근본주의의 폐해를 낫게 된다 그러나 상대주의만 강조하면 (창의적인 작품이 늘어날 것 같지만) 결국엔 무의미만 낫게 된다 정말 좋은 예술은 절대만으로 치우치지도 .. 허수(imaginary number) 허수는 가상의 수 imaginary number 상상의 수라고 말한다 이런 수를 수학에서 다룬다 수학은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아닌가? 그런데 어떻게 상상의 영역을 다룰 수 있는 것일까?? 이런 수가 수학에 존재하는 이유는 뭘까?? 또한 학문적으로 정당화 될 수 있는 근거는?? 파이와 무한 수학의 천재 가우스는 수학자들에게 이렇게 경고했다 "절대로 무한의 얼굴을 마주하지 마라" 가우스에게 있어서 수학은 진리였고 무한은 수학의 진리 속에서 모순을 양산시키는 괴물이었다 가우스는 수학이라는 숭고한 건물에 모순을 들이고 싶지 않았고 따라서 무한을 버리고 싶어했.. The Lord's Prayer Our Father in heaven, hallower be your name, Your kingdom come, Your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Give us today our daily bread. Forgive us our debts, as we also have forgiven our debtors. And lead us not into temptation, but deliver us from the evil one. For Yours is the kingdom, and the power, and the glory, forever. Amen. 과학과 수학보다 철학에서 '위대한' 내용들이 서로 저마다 다른 주장을 하는 이유 버트런드 러셀은 펠로우 시절에 철학자들은 저마다 다르고 위대한 내용들을 말한다며 꼬집었었다 내가 감히 고찰하기에 과학에서 과학자들은 같은 물체를 다룬다 예를 들어, 케플러, 티코 브라헤, 갈릴레오, 코페르니쿠스, 뉴턴, 아인슈타인 모두 빛과 우주 태양계 화성 지구 등등 같은 .. 관중과 제갈공명의 해결 방법 (천도책) 우리는 현실과 이상사이에 중간에 놓이게 된다 현실은 우리에게 현실적인 판단을 하도록 요구하며 이상은 우리에게 이상을 꿈꾸게 만들도록 요구한다 보통 많은 사람들은 이 중간에 치여서 현실도 잃고 이상도 따라가지 못해 이도저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관중과 제갈 공명은 우.. 고대 로마의 노인 처우 고대 이집트나 로마에서는 해마다 일정 연령에 달한 노인들을 다리에서 떨어뜨려 수장했다 수단의 팅카 족은 노인이 재산 분배를 마치면 높은 언덕에서 투신 자살케 했다 뉴기니의 파푸아 족은 노인을 나무에 매달고 '과일은 다 익었다'고 외치며 막대기로 때려서 살해했다 또 아메리카 .. 성유선악설 태어날 때 사람의 본성은 본디 정해져 있지 않다 (tabula lasa) -중국의 학자 고자, 영국 존 로크 성유 선악설 : 사람의 본성에는 선도 있고 악도 있기 때문에 후에 선할 수도 악할 수도 있다 사람은 선도 악도 없는 백지가 아니라 선한 본성과 악한 본성을 둘 다 가지고 태어난다는 뜻이다성무.. 이전 1 ··· 213 214 215 216 217 218 219 ··· 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