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808)
관중과 제갈공명의 해결 방법 (천도책) 우리는 현실과 이상사이에 중간에 놓이게 된다 현실은 우리에게 현실적인 판단을 하도록 요구하며 이상은 우리에게 이상을 꿈꾸게 만들도록 요구한다 보통 많은 사람들은 이 중간에 치여서 현실도 잃고 이상도 따라가지 못해 이도저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관중과 제갈 공명은 우..
고대 로마의 노인 처우 고대 이집트나 로마에서는 해마다 일정 연령에 달한 노인들을 다리에서 떨어뜨려 수장했다 수단의 팅카 족은 노인이 재산 분배를 마치면 높은 언덕에서 투신 자살케 했다 뉴기니의 파푸아 족은 노인을 나무에 매달고 '과일은 다 익었다'고 외치며 막대기로 때려서 살해했다 또 아메리카 ..
성유선악설 태어날 때 사람의 본성은 본디 정해져 있지 않다 (tabula lasa) -중국의 학자 고자, 영국 존 로크 성유 선악설 : 사람의 본성에는 선도 있고 악도 있기 때문에 후에 선할 수도 악할 수도 있다 사람은 선도 악도 없는 백지가 아니라 선한 본성과 악한 본성을 둘 다 가지고 태어난다는 뜻이다성무..
우리나라의 가장 안타까운 역사 국가를 이끄는 리더십이 제대로 일하지 않으면 백성들이 고생한다 우리나라 역사 중에서 개인적으로는 가장 안타까웠던 역사적 내용를 소개한다 '정유재란 당시 지리산 밑 남원 어느 골짜기에서는 아기 엄마가 왜병을 피해서 달아난 뒤 며칠 동안 굶주린 끝에 정신 이상이 되어 태어난 ..
사람의 권리의 기초는? 왜 모든 인간이 존재적으로 평등하다고 하더라도 '사적인 재산권'을 갖는걸까? 왜 각자의 행위에 각자가 책임을 져야하는걸까?? 왜 판단 능력 여부에서 책임소재 여부가 결정나는걸까?판단능력이 있으면 그에따른 책임을 지지만, 판단능력이 없는 경우 그에 따른 책임을 지지 않는 이유..
돈의 필연적인 한계 자본주의 사회인지라 돈을 참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걸 알겠다 하지만 돈은 그 자체로는 종이조각일 뿐이다 종이에 가치를 부여한 것은 그 사회이며 그 사회 속의 개인들이다 그러므로 종이조각에 불과한 돈이 가치로 환산되어 쓰일 수 있는 이유는 각 사람의 동의뿐만 아니라 인간..
양분화적 인식의 근본적인 한계에 관하여 최초의 철학자 중의 한 사람인 플라톤은 인간에 대한 물음을 다루었다 그는 인간을 규정하기 위해 개념체계를 전개한다 그는 '제일 위로부터' 출발했는데, 그 첫 번째 개념은 '존재하는 모든 것'이었다 그 다음 이 개념을 '살아 있는'과 '살아있지 않은 ' 이라는 대립 쌍으로 분류했다 살아..
자본주의의 의미(니콜라 월터스토프) 1 한 경제가 물품, 토지, 서비스를 배분하는 데 시장제도라는 수단을 더 많이 사용할수록 더 자본주의적이라 말할 수 있다 2 한 경제에 속한 기업들이 시장에서의 판매를 통해 이윤을 얻는 것을 목표로 삼을수록 그 경제는 더 자본주의적이라 할 수 있다 3 한 경제가 임금을 제공함으로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