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89)
조선이 퇴보했다는 증거(성리학에 반대하는 이유) 여자 노예가 아이를 나으면 남편에게도 휴가를 주도록 하라 -세종대왕 살펴보건대 노비라는 명칭은 본디 죄지은 사람을 다스리는 데서 생겨난 것이며, 죄인이 아닌데도 노비로 만드는 법은 예적에는 없었다 무릇 죄인으로 노비가 된 사람이라 하더라도 그 벌은 후손에게까지 미치지 않..
정약용 who? 조선 후기의 학문과 사상에서 나타난 새로운 경향 중에 대표적인 것은 실학의 발달이었다 실학은 17, 18세기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순의 해결책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대두한 학문과 사회 개혁론이다 실학은 18세기에 가장 활발했으며, 대부분의 실학자는 민생 안정과 부국강병..
정약용? 정약용 선생 1인에 대한 연구는 곧 한국사의 연구요, 한국 근대 사상의 연구요, 조선의 심혼心魂의 연구이며 전 조선의 성쇠존멸에 대한 연구이다 -위당 정인보
몬티홀 딜레마 2 몬티홀 딜레마를 응용해서 상상해보자 사람이 한 명인 경우 처음 선택 염소 => 2/3 하나 염소 오픈 따라서 남은 문은 염소와 자동차 뿐이고 처음 선택인 염소일 확률은 2/3이므로 이런 경우 바꿔서 자동차를 얻을 확률이 정확히 2/3이 된다 사람이 세 명인 경우(서로 겹치지 않게 선택한다..
김구의 철학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
무 왕자의 질문 (+궁금증) 하루 한 명씩 10명을 보면 10일이 걸린다 군사가 1000명 10000명이 넘어가면 작은 장수와 큰 장군을 세워 10명씩 10명씩 그래서 숫자가 늘어도 10일이면 볼 수 있도록 체계와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런 시스템을 관료제나 상하구조라고 말하는데 이런 시스템이 최선인걸까? 다른 구조는 없을까?
좋은 선생님의 역설적인 조언 좋은 선생님일수록 자신이 선생님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일까? 내가 여러분들께 여쭈어볼수록 그 분들은 인문학은 하나의 놀이이며 이 놀이를 아이들과 함께하는 것일 뿐이라 말했다 아이들의 관심사를 더 귀기울여주려하며 아이들에게 따뜻한 애정과 응원을 불어넣어준다..... 내가 ..
독서의 원리 독서뿐만 아니라 세상만사가 거의 그렇지만 독서에는 더더욱 '자석의 원리'가 작용된다 (흔히들 공부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관성'이라는 표현을 쓴다) 예를 들어 카지노에서 바카라라는 게임을 하는 경우 그 기본적인 원리는 베팅과 확률에 좌우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도박사가 바카라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