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86)
뤼팽의 가설(흑진주) '왜 뤼팽은 하인을 범인으로 몰되, 결국엔 증거부족으로 풀려나도록 유도했을까?' 뤼팽은 흑진주를 훔치기 위해서 집에 침입했다 그런데 흑진주의 주인은 이미 죽었다 이 시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크게 세 가지이다(보통 사람들은 두 가지 경우만을 따지겠지만, 뤼팽은 좀 더 똘똘했다랄..
뤼팽의 가설(태양놀이) 이 소설내용은 제법 길지만, 부수적인 것들을 전부 제외하고 오직 단 하나의 핵심, 단 하나의 논리적 건물에 집중해보자 "범인은 렙스타인 백작이다" 뤼팽이 이 가설의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에는 실질적으로 단 하나의 분석에 의지했다 렙스타인 백작의 집사가 죽으면서 메시지를 남겼다..
이상한 모순 (삼국지 특히 제갈곰명과 사마의 병법) 1) 촉군은 속전속결을 원한다 그런데, 위군 앞에서 진을 친 채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 전쟁을 할 수 있는데도 전쟁을 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은 속전속결을 거부하는 것이다 속전속결을 거부하는 듯 보이지만 속젼속결을 원하고 있다 뭔가 이상하다 2) 공명은 선제의 유지를 받들어 ..
사마의 병법 (삼국지 제갈공명과 사마의) 우리 군이 승리하면 적은 쉽사리 후퇴할 수 없지만, 우리 군이 패한다면 적은 즉시 퇴각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병법의 진수이다 제갈 공명이 원하는 것은 속전속결이다 그 이유는 군량조달(보급)때문이다 촉에서 위로 군량을 조달하는 길은 험하기때문에 군량을 한 달 이상 꾸준히 보급..
다나카의 추리(황태자비 납치사건) "범인은 한국인이다" [위의 명제 증명] 범인은 가네히로다(가네히로가 범인이다) 범인은 전국탐문(검시)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측정치까지만 술을 마셨다 그런 후에 경찰 앞에서 도주하는 척하며 경찰의 관심을 자신으로 유도했다 그 사이 마사코(황태자비)가 탄 차는 검문을 피할 수 있..
보트를레의 추리(아르센 뤼팽 기암성) 보트를레는 세 가지 공리에서 출발했다 1. 사진이 아버지에게 보내졌다 하지만, 자신이 보낸 것은 아니다 2, 밤에는 경비가 삼엄해서 무기고에서 나갈 수 없다 2, 사를로트가 아버지에게 점심, 저녁을 전달했다 일단 사진이 너무 명백하기 때문에 추리를 시작하기에 좋았다 사진은 자신이 ..
동주와 서주(전국책) 동주와 서주는 서로 대립관계에 있다 서주는 동주가 농사를 짓지 못하도록 물을 끊었다 동주 임금은 이를 걱정했다 그러자 소자가 서주로 가서 벼농사가 시작된 후에 물을 끊으면 서주에 이득이 된다고 조언한다 그래서 서주임금은 다시 물을 내려보낸다 소자는 동주와 서주로부터 사례..
삼단논법 모든 사람은 죽는다(대전제)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소전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결론) 아담스미스의 주장 이기적인 개인은 사회의 공익을 증진시킨다(결론) 사회의 공익은 사회적 재화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사회에 분배시키는 것이다(대전제) 이기적인 개인은 자신이 이익을 위해서 사회적 재화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고 그리고 그 재화를 분배하여 자신의 이익을 얻을 수 밖에는 없다 그러므로 이기적인 개인은 사회적 재화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사회에 분배시키는 존재이다(소전제) 최만리의 주장 한글은 문화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결론) 중국을 따르는 것이 문화적으로 가장 올바른 결정이다(대전제) 한글은 중국의 문화를 따르는 것이 아니다(소전제) 프랑스의 주장 개는 인간의 친구다 (소전제) 인간의 친구는 먹어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