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일기

(109)
습관을 다룬다는 것은 무엇인가? 환경을 통제한다는 것이다 저번에 인생의 본질은 습관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 습관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말해야 공평한 것 같다 습관은 철저히 환경 속에서 다루어진다 언제나 의지로 무엇인가를 해서는 안 된다 우리의 의지는 그렇게 굳세지 않다 자신의 의지를 과신하지 말기를 바란다 대신, 지혜로운 환경 설..
논리적인 사고를 높이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권재원 박사의 분석에 따르면, 4~5등급의 문해력을 가진 사람은 1등급의 문해력을 가진 사람보다 임금은 2.9배, 봉사활동 참여도는 2.5배, 자기 신뢰 2.3배, 취업률 2.2배, 건강은 2.1배가 높았다 한 마디로 문해력과 사회경제적 지위 및 성취는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여기서는 ..
봉사활동과 남을 섬기는 삶 저는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봉사활동과 남을 섬기는 삶을 지속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제 봉사활동을 반대했습니다 특히 왜 그런지는 이해가 가지 않지만 우리 부모님들이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부모님들이 뭐라고 하더라도 저는 남을 섬기는 삶을 살 것입니다 기독교인..
왜 인문고전이 필요하나고? 이지성 작가님 리딩으로 리드하라에서 발췌한 내용임을 밝힙니다 (즉 제가 쓴 글이 아닙니다) 플라톤 : 아테네 명문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최고의 인문 교육을 받았다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 아리스토텔레스 : 플라톤이 원장으로 있었던 아카데메이아에서 20년 가까이 철학을 공부하고 ..
why? 라고 묻고 또 물어라 우리는 책을 읽을 때 묻고 또 물어야 한다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질문은 why?라는 질문이다 why?라는 질문은 수학이자 과학이자 철학이다 why?라는 질문은 이해력이자 호기심이자 기억력이다 why?라고 묻고 또 물어라 100번이고 1000번이고 이해될 때 까지 묻고 또 물어라 가장 세세한 부분까..
글이 써진다 아 쓰고싶은 글도 너무 많고 써야하는 글도 너무나 많다 아이디어가 너무 넘쳐서 미칠 것 같다 누구나 이렇게 영감이 넘치는 것일까? 누구나 이렇게 엄청난 모티베이션을 가지고 있는것일까? 나는 밤낮으로 폭포수와 은하수와 같이 넘쳐흐르는 영감에 숨을 쉬며 밥을 먹는다 운동을 하고..
목표는 실패이다 난 이 블로그에 글을 적으며 가장 큰 목표로 삼은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실패이다 너무나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이 블로그의 목적은 실패를 향해 있다 지금 나는 아직 너무나 어리다 부족한 점도 많고 아직 본격적으로 무엇인가를 시작하지도 않았다 솔직히 인정하자면 나는 아직도 배워..
지금 시대에 책으로만 배우는 사람은 하수다 시대가 급변하고 있다 이에 반박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기술, 문화, 경제, 과학, 소통 모든 면에서 완전히 세상이 뒤바뀌고있다 누구는 이 말이 구호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분명한 진실이다 따라서 이런 시대에 맞게 배우는 방식도 바뀌어야한다 책으로만 배우는 시대는 이미 끝났다..